광복절이란? 태극기는 어떻게?
2025년 광복 80주년 특별 안내
2025년 8월 15일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 광복 80주년입니다. 매년 맞이하는 광복절이지만, 그 의미와 올바른 태극기 게양법을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광복절의 역사적 의미부터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태극기 달기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광복절이란 무엇인가
광복절(光復節)은 '빛을 되찾다'는 뜻으로,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의 식민지배에서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동시에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것을 경축하는 의미도 담고 있어 이중의 기쁨을 상징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광복절 역사 한눈에 보기
-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 35년 만에 해방
-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로 공식 제정
- 2025년 8월 15일: 광복 80주년
광복절은 3·1절, 제헌절, 개천절, 한글날과 함께 대한민국 5대 국경일 중 하나로, 국가적 경사를 축하하는 매우 중요한 날입니다.
2025년 광복 80주년의 특별한 의미
올해 광복절은 제80주년이라는 특별한 의미를 지닙니다. 8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우리나라는 전쟁의 폐허에서 일어나 선진국으로 발전했으며, 민주주의를 정착시키고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습니다.
광복 80주년 계산법: 2025년 - 1945년 = 80주년
해방이 된 1945년을 1년으로 계산하지 않고, 그 다음 해인 1946년을 1주년으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광복의 기쁨과 함께 찾아온 분단의 아픔도 함께 기억해야 합니다. 진정한 광복은 통일된 하나의 민족국가를 이루었을 때 완성된다는 점에서 광복절은 과거를 기억하고 미래를 다짐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올바른 태극기 게양법
광복절에 태극기를 다는 것은 단순한 의식이 아닌 나라사랑을 실천하는 구체적인 방법입니다. 올바른 게양법을 숙지하여 의미 있게 참여해보세요.
기본 게양 원칙
게양 시간: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주의사항: 심한 비·바람 등 악천후로 태극기 훼손이 우려될 때는 달지 않습니다.
광복절 태극기 게양법
✓ 올바른 방법
경축의 의미로 게양
(광복절은 기쁜 날)
✗ 잘못된 방법
조기로 게양
(추모일에만 사용)
광복절은 경축일이므로 반드시 깃봉 끝에 바짝 붙여서 게양해야 합니다!
기본 게양 원칙
게양 시간: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게양 방법: 광복절은 경축일이므로 깃봉과 깃면 사이를 떼지 않고 답니다.
주의사항: 심한 비·바람 등 악천후로 태극기 훼손이 우려될 때는 달지 않습니다.
태극기 게양 방법
경축일과 조의일 태극기 게양법
경축일 (기쁜 날)
깃대 맨 위에 게양
- 3·1절 (3월 1일)
- 제헌절 (7월 17일)
- 광복절 (8월 15일)
- 개천절 (10월 3일)
- 한글날 (10월 9일)
- 국군의 날 (10월 1일)
조의일 (추모하는 날)
깃대 중간 높이에 게양
- 현충일 (6월 6일)
- 국가장 기간
- 국민장일
- 정부 지정 조의일
* 조기 게양 시에는 깃면의 너비만큼 깃대에서 떨어뜨려 답니다
* 깃대가 짧은 경우 조기임을 알 수 있을 정도로만 내려서 답니다
태극기 구입 및 관리 방법
태극기 구입 장소:
- 각급 자치단체 민원실(시·군·구청, 읍·면·동 주민센터)
- 인터넷우체국(www.epost.go.kr)
- 인터넷 태극기 판매업체
오염·훼손된 태극기 처리: 각급 자치단체 민원실이나 주민센터에 설치된 국기수거함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태극기 게양 시 주의사항
안전 수칙:
- 아파트 베란다나 높은 곳에서 태극기를 걸 때 낙상사고 주의
- 자녀와 함께 달 경우 전사고 방지에 특별히 주의
- 고층건물에서는 강풍으로 인한 태극기 낙하사고 방지
- 태극기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주의
광복절의 현재적 의미
광복 80주년을 맞는 오늘날, 우리는 여전히 분단된 현실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진정한 광복의 완성을 위해서는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광복절은 단순히 과거를 기념하는 날이 아닌, 순국선열들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미래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의식을 전달하는 교육의 날이기도 합니다.
2025년 광복 80주년 기념행사
정부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억과 다짐'을 주제로 전국적인 기념사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각 지자체별로도 다양한 문화행사, 전시회, 공연 등이 개최될 예정이니 가족과 함께 참여해보시기 바랍니다.
광복절 의미 있게 보내는 방법
- 가정에서 태극기 게양하기
- 독립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 등 역사 관련 시설 방문
- 가족과 함께 광복절의 의미 나누기
- 지역 기념행사 참여하기
-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 따라가기
마무리
광복 80주년을 맞는 2025년, 우리는 과거의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현재의 소중함을 깨달으며 미래의 희망을 품어야 합니다. 태극기 한 번 다는 것이 작은 실천일지라도, 그 안에 담긴 나라사랑의 마음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오는 8월 15일 광복절에는 올바른 태극기 게양으로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는 뜻깊은 시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우리 모두의 작은 실천이 모여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0 댓글